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 향기로 그려진 인간의 본질

by 엠닷 2025. 3. 5.

2006년 개봉한 영화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Perfume: The Story of a Murderer)」는 독일 작가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입니다. 톰 티크베어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주인공 장 바티스트 그루누이를 벤 위쇼가 연기하였습니다. 이 영화는 냄새에 대한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한 남자가 완벽한 향수를 만들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과정을 다룹니다. 향기는 단순한 후각적 경험을 넘어 인간의 감정과 본질을 조종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이를 통해 영화는 인간 존재와 욕망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화 속에서 향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주인공 그루누이가 향을 통해 무엇을 추구했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향기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 향기로 그려진 인간의 본질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후각의 천재, 그루누이에게 향이란 무엇인가? (스포주의)

그루누이는 악취로 가득한 18세기 프랑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로부터 버려지지만, 놀랍게도 생존하여 고아원에서 자라 가죽공장에 팔려갑니다. 그루누이는 말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대신 후각이 비범하게 발달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세상의 모든 냄새를 구별할 수 있었습니다. 어느날 그는 자두를 파는 소녀의 향기에 매혹되어 그녀를 따라갔고, 소리지르는 그녀의 입을 막아 그녀를 죽게 합니다. 그루누이는 죽은 그녀의 체취를 탐닉하며 강렬한 감정을 느끼고 각성합니다. 그루누이는 향료 상인 발디니를 찾아가 대유행하던 향수 '사랑과 영혼'을 즉석에서 만들어보입니다. 향료가 든 수많은 병들 사이에서 로즈마리, 베르가못, 패츌리, 오렌지블로썸, 라임, 머스크, 클로브, 벤조인(때죽나무)를 바로 찾아내서는 계량도 하지 않고 완벽하게 그 향을 재현해내죠. 결국 발디니는 그루누이를 사와 그가 조향한 향수로 떼돈을 법니다. 향을 보존하고 싶은 그루누이는 발디니로부터 수증기증류법을 배우지만 수증기 증류법으로 모든 향을 얻을 수는 없었죠. 결국 그는 100개의 향수제조법을 발디니에게 주고 냉침법을 배우기 위해 그라스로 떠납니다. 그라스로 가는 길에서 그는 자신의 체취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충격에 휩싸입니다. 그는 정체성을 부정당하는 것 같았으며, 자신만의 완벽한 향을 찾고자 하는 강렬한 욕망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그는 향에 집착하다못해 아름다운 여성들의 체취를 수집하기 위해 연쇄 살인을 저지르게 됩니다. 그의 살인은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향기를 추출하고 보존하려는 강박적인 탐구 과정의 일환이었습니다. 그루누이에게 있어 향이란 단순한 후각적 경험이 아니라, 존재를 증명하고 영원성을 획득하기 위한 도구였던 것이죠.

 

 

향기와 존재감

그루누이가 추구한 향들은 단순한 꽃향기나 단일한 냄새가 아니라, 각 여성들이 지닌 독특한 본질과 존재감을 상징하는 향이었습니다. 마지막 희생자인 로라의 향기까지 더해 궁극의 향을 완성했을 때 그루누이는 자신의 존재감을 증명하고 자두파는 소녀의 강렬한 기억을 떠올립니다. 영화는 이 과정에서 향이 단순한 쾌락적 요소가 아닌, 인간의 감정과 사회적 통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힘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루누이가 만들어낸 최종적인 향수는 단순한 향기가 아니라, 인간의 감각과 감정을 조종하는 절대적인 힘을 지닌 물질이었습니다. 이 향수를 뿌린 순간, 그를 처형하려던 군중은 모두 향기에 이성을 잃고 그에게 경배합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원초적인 본능에 사로잡힙니다. 이 장면은 향이 얼마나 인간의 본능을 지배할 수 있는지를 극적으로 보여줍니다.

향기는 분명 강력한 감각적 도구이지만, 이영화에서의 향이 지닌 강력한 힘은 단순히 후각적 요소인 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에서 '향'에 심어놓은 메타포는 무엇일까요? 

 

궁극의 향기로도 채울 수 없는 공허함

그루누이가 마침내 완벽한 향수를 완성했을 때, 그는 예상치 못한 깨달음을 얻습니다. 모든 사람이 그를 사랑하고 숭배했지만, 그는 여전히 행복을 느낄 수 없었습니다. 이는 그가 원하는 것이 단순히 향을 통한 권력이나 사랑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완벽한 향수조차도 그루누이에게 진정한 자아를 찾는 만족감을 주지 못했습니다.
결국 그루누이는 자신이 만든 향수를 몸에 뿌리고, 다시 파리의 거리로 돌아갑니다. 그리고 거지들과 하층민들이 모인 곳에서 스스로를 희생하듯 향수의 힘에 의해 그들에게 삼켜집니다. 그는 그토록 원했던 사랑과 인간적 교감을 최후의 순간에야 경험하지만, 그것은 개인적인 행복이 아니라 집단적인 광기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이 결말은 향수라는 것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도구일 뿐, 진정한 자아를 찾는 방법이 될 수 없다는 점을 암시합니다. 어쩌면 이 영화에서 '향'이 상징하는 것은 인간의 '집착'과 '욕망'은 아닐까요? 결핍된 것에 대한 집착, 사회적 허상에 대한 욕망 같은 것 말이죠.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는 단순한 범죄 영화가 아니라, 향기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본질적인 존재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그루누이의 여정을 따라가며 우리는 후각이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기억과 감정을 지배하고 나아가 인간의 욕망을 형성하는 강력한 힘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이 영화는 '향기'라는 주제를 통해 인간이 무엇을 갈망하는지, 그리고 그 갈망이 충족되었을 때 과연 우리는 만족할 수 있는지를 되묻습니다. 진정한 자신의 향이 아닌 거짓된 향은 결국 본질적인 공허함을 채울 수 없는 것일지도 모릅니다.